처리량과 응답시간
-
쓰레드 (thread)를 높이면 성능이 높아진다?성능, 오해와 진실 2021. 1. 14. 21:47
스토리지 성능 테스트 시 쓰레드를 과도하게 설정하여 부하를 주는 경우가 참 많다. 아마도 조금이라도 더 높은 처리량 (IOPS)을 획득하기 위한 마음으로 보인다. 결론을 이야기하기 전에, 예전의 경험을 먼저 끄집어내어 본다. 과거, 정보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할 때, 고객으로부터 항상 요청받는 것이 하나 있었다. 자기들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하니까, 부하를 많이 때려(?) 봐달라고 한다. 그래서 Virtual user를 많이 넣어달라고.. 사실, 부하를 많이 넣는 것이 포인트가 아니라, 부하를 증가시키면서 나타나는 시스템의 반응과 변화를 모니터하고 최대 성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하를 넣다 보면 어느 지점에서는 시스템의 처리량이 한계를 맞이하기 마련인데, 무조건 많이 넣어달라고만 하는 것이다...
-
TPS와 응답시간성능 이론 2020. 12. 12. 23:44
정보시스템의 대표적인 성능 지표는 처리량 (Throughput)과 응답시간 (Response Time)이다. 1. 처리량 처리량은 시스템 측면의 대상 시스템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는 KPI이며, 단위로는 주로 TPS (Transactions per Second)를 사용한다. 이는, 단위 시간당 대상 시스템에서 처리되고 있는 요청 건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처리량을 일컬을 때 각 대상 리소스별로 호칭하는 용어가 별도로 존재한다. 처리량 단위 CPU : MIPS, MFLOPS Network : BPS, pps Server : tpmC C/S, TP-Monitor, Mainframe : TPS Storage : IOPS TPS (Transactions per Second) 초당 발생하는 Business 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