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이론
-
처리량과 응답시간,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성능 이론 2020. 12. 16. 23:12
사람들은 흔히 "성능 = 짧은 응답시간" 으로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응답시간은 업무 유형이 다양하여 동일 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업무별 응답시간이 다를 수 밖에 없고, 부하 수준에 따른 변동성을 내포하고 있어 시점에 따라 그 판단이 다를 수 있다. 그러기에 성능의 척도는 빠른 처리보다는 단위 시간당 처리한 트랜잭션량을 우선시한다. 물론, 응답시간과 처리량은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이 둘은 엄연히 구분되어야 한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김해공항에는 5개의 입국 심사대가 있어 5명이 동시에 입국 심사를 받을 수 있다고 가정하자. 한 사람당 심사에 걸리는 시간은 30초라고 한다. 이 때, 입국 심사 시스템의 성능은 무엇으로 평가하고 또 어떻게 개선될 수 있을까? 심사원의 개별 심사 시간일까?..
-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량 곡선성능 이론 2020. 12. 15. 17:49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량 (Throughput)은 부하가 증가하면서 선형적으로 증가하다 그 증가세가 서서히 완화되면서 결국엔 한계에 이르게 된다. 부하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전달하는 요청 (Request)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Light load zone에서는 부하 증가 시, 처리량 역시 일정하게,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때는 시스템의 처리 능력에 부족함이 없기에 일정한 응답시간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By Little's law) 그러나, 임계점 (Saturation point) 이후부터는 부하가 증가하여도 처리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하고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이 때는 시스템이 낼 수 있는 최대 성능치에 이른 것이며, 병목 현상이 나타나게 ..
-
동시사용자와 부하 분석성능 이론 2020. 12. 14. 23:35
일반적인 Web based system을 사용하는 사용자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와 같이 4가지 사용자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뜻을 잘 못 알고 사용하는 사례도 많으므로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중, 가장 흔히 들어본 사용자는 아마도 동시 사용자 (Concurrent user)일 것이다. 말 그대로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 중인 사용자다. 그러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Connected user로 생각하는 이들도 많으므로 정확한 뜻을 살펴보고자 한다. Named user는 해당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이다. 즉, Named user 수는 DB에 존재하는 계정의 총 합이다. 이는 성능 관점에서 볼 때 그리 중요한 지표가 아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용자들이 그 시스템을 사용한다..
-
IOPS와 지연시간성능 이론 2020. 12. 13. 23:21
이 글을 읽기 전에 아래 글 (TPS와 응답시간)을 읽어보길 권한다. performance.tistory.com/4 스토리지의 대표적인 성능 지표 역시 처리량 (Throughput)이다. 그리고 응답시간 대신 지연시간 (Latenc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 IOPS IOPS (Input Output Operations per Second)는 스토리지에서 사용되는 용어다. 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TPS와 마찬가지로, 스토리지의 대표적인 성능 지표로서 처리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해당 스토리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KPI이다. IOPS 초당 발생하는 IO Operations (건/sec) IOPS = 총 IO Operation 처리건수 / 단위시간 (sec) 스토리지의 주요 성능 Factor 2...
-
TPS와 응답시간성능 이론 2020. 12. 12. 23:44
정보시스템의 대표적인 성능 지표는 처리량 (Throughput)과 응답시간 (Response Time)이다. 1. 처리량 처리량은 시스템 측면의 대상 시스템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는 KPI이며, 단위로는 주로 TPS (Transactions per Second)를 사용한다. 이는, 단위 시간당 대상 시스템에서 처리되고 있는 요청 건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처리량을 일컬을 때 각 대상 리소스별로 호칭하는 용어가 별도로 존재한다. 처리량 단위 CPU : MIPS, MFLOPS Network : BPS, pps Server : tpmC C/S, TP-Monitor, Mainframe : TPS Storage : IOPS TPS (Transactions per Second) 초당 발생하는 Business Tra..
-
Little's law성능 이론 2020. 12. 11. 22:45
Little's law (리틀의 법칙)는 고정 시스템에서 고객의 장기 평균 수가, 장기 평균 유효 도착률에 고객이 시스템에서 소비하는 평균 시간을 곱한 것과 같다는 John Little의 정리이다. In queueing theory, a discipline within the mathematical theory of probability, Little's result, theorem, lemma, law, or formula[1][2] is a theorem by John Little which states that the long-term average number L of customers in a stationary system is equal to the long-term average effec..